목록PSU (46)
MJay

Convex - Hull 은 모든 점을 포함하는 점을 이어주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. 먼저 y 축으로 Sorting을 한다. sorting을 했을 경우 젤 작은 점 기준으로 또 x 축으로 sorting을 한다. 그리고 먼저 3개의 점을 넣는다. 그리고 4번쨰점부터 계속 방향이 왼쪽으로 가는지 확인한다. 아닐 경우는 pop을 통해 제일 마지막으로 들어간 거를 빼준다. 4번에 대한 설명이다. pb -> pa -> pk 했을때 right 이면 pa를 뺸다 아니면 pk를 넣는다. Graham Scan 은 O(nlogn)이 젤 dominate 하다. 이건 sort 할떄 쓰인다고 보면 될듯 왜 Left 인지 vector 로 설명을 할수 있다. 외적 곱을 했을때 양수이어야 왼쪽이다 그게 중요하다 0이면 그냥 같은 라인..

2019-08-28 이것만 알고있으면 될꺼같다. 이건 Merge Sort를 Divide and Conquer 로 하는 것이다. 별거 없음 그냥 그래서 O(N log N) 이라는 것이다 정리해보면 Master’s theorem 만 잘 알고있으면 된다. 정리해보자면

여유가 생겼으니 낮에는 알고리즘을 해야겠다. 토요일부터 해서 12개는 했어야했는데 하나도 못했다. 뭐 연구가 먼저니까 일단 얼른 해보자 뭐부터 하지 한번 봐보자 퀴즈 - 3개 과제 - 3개 파일 - 13개 하나도 안 풀었네 파일 12개를 봐볼까 그게 나을꺼같은데 ---- 일단 교수님의 Style을 알아야겠다. 문제를 이렇게 내시네 Rates of Growth 문제 많이 풀어봐야지 뭐 PPT를 일단 얼른 다 보자 -> 30분에 1 page 씩 볼까 그것도 괜찮은거 같다. -> 일단 하고 보자 2019-08-26 알고리즘의 정의 Step by step procedure to solve logical and mathematical problems Another Example 나중에 다 다루니까 넘어가는 걸로 ..
어제 왜 그랬는지 몰겠지만 3시에 자서 9시에 인났다. 역시 6시간 이상은 자야한다. 오늘은 2시에 자서 8시에 인나는 걸 목표로 해보자. 일단 1시간 30분 남았으니 - 얼른 연구를 하고 낮에는 알고리즘을 하고 저녁에는 다시 연구를 해보자 그게 나을꺼같다. 알고리즘은 될지 몰겠지만 12개를 봐보고 연구는 50 pages 까지는 대본을 써보자
오늘 페퍼밀 사람들이랑 다 같이 밥을 먹었다 너무 힐링이 됬다. 오늘은 PPT를 만들어봐야겠다. 가능하면 6 page까지는 커버를 해봐야겠다. 그냥 하던대로 해보자
오늘의 느낀점 매주 금요일 저녁에는 어디라도 갔다오는게 좋을꺼같다. 다음주에는 피츠버그를 가봐야겠다. 낼은 아침에 1시간 운동을 하고 도서관을 가서 공부를 하고 11시30분에 와야겠다. 얼른 자야겠다.
이 시국에 계획을 짜보자 알고리즘 계획을 짜보자 퀴즈 - 3개 과제 - 3개 파일 - 13개 토 일 월 화 수 5일밖에 없다고? 4개씩 은 해야겠네 난 지금 연구가 더 중요한거 같으니 일단 그냥 하자 2시간 잡으면 되겠네 To-Do Lists 1. 연구 2. 퀄리파잉 - 알고 3. 퀄리파잉 - OS 4. 수업 - Algorithm 5. 수업 - Computer Architecture 6. Colloquim 남은 시간에 알고를 하고 OS를 한다.. 복습을 해야겠네. 3시간 하면 되려나 7시부터 10시 알고만 해도 될꺼같다. 이번주는 사실 - 3시간은 해야 다 끝날거같음

Qualifying Exam - Chapter 2를 간략히 봐봐야겠다. 그냥 그림이 이뻐보여서 가져와봤음 목차 보면 뭐 별거 없어보인다. 음 문제가 무슨 40문제 이네 너무 많은데 그냥 이번주 토욜까지 풀수있을만큼 풀고 넘어가자 Chapter 1 도 Chapter 2도 일단 크게 어려워 보이지 않는다. 문제만 풀면 될꺼같다.
Def(matroid) - Let x be an infinite cost. S - subsets X A belong to S, we call A “independent” (X, S) forms a matroid if hereditary property: if A belongs to S, then for any subset of A, A belongs to S (유전이지 왜냐면 A1 은 A에서 나온 애니까) A 랑 B랑 둘 다 S에 속하고 A보다 B가 더 크면 A에 속하지 않고 B에 속하는 x 가 있을 것이다. 그리고 그건 A 랑 X 랑 Union 해도 S에 속한다. exchange라는 게 B에 속하는 걸 A에 줘도 된다는 뜻으로 보인다. Optimization Problem Input - matroid ..